홈으로 | 랭킹100 | 회원가입 | 로그인   
현재 링크를 복사 현재 조합을 추천 현재 조합에 토픽추가
단위 한국 불교의 역사 X
372
[372] 고구려 소수림왕 2년,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,불상 전함.
[372] 고구려 소수림왕 2년,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,불상 전함.
384
[384] 백제 침류왕 1년,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.
391
[391] 고구려 광개토왕,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.
392
[392] 고구려 광개토왕,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.
[392] 백제 아신왕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.
417
[417] ~458 신라 눌지왕 고구려 승 묵호자가 불교를 전함.
452
[452] 가야 수로왕의 왕후 허왕후 명복을 빌고자 왕후사를 세움.
479
[479] ~500 신라 소지왕때 고구려 승려 아도가 불교를 전함.
512
[512] 고구려 승랑, 양무제가 보낸 고승 10명에게 삼론학을 가르침.
526
[526] 겸익, 인도에서 율장을 가지고 귀국.
527
[527] 박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.
549
[549] 신라 최초 유학승 각덕, 양나라에서 귀국.
551
[551] 고구려에서 망명해 온 혜랑 국통이 됨.
552
[552] 일본에 금동불,불경,미륵석불을 보내 불교를 전함.
565
[565] 유학승 명관, 진나라에서 불경 가지고 귀국.
576
[576] 고구려 의연, 북제에 건너가 불교역사 질의.
[576] ~59 신라, 백제에서 미륵화신 미력랑을 맞이함.
577
[577] 백제의 검단, 선운사를 세움.
[577] 일본에 경론과 율사,기술자 등을 보내 일본불교 지원.
595
[595] 고구려 혜자와 백제 혜총, 일본 쇼오토쿠(백제 위덕왕 42) 태자의 스승이 됨.
601
[601] 백제 무왕 미륵사 세움.
608
[608] 신라의 원광, 수나라더러 고구려 쳐달라는 걸사표를 씀.
610
[610] 고구려 담징, 일본에 불교,유학,그림,제지법 등을 가르치고 법흥사 금당벽화 그림.
612
[612] 고구려 살수대첩에 일곱 승려 공헌.
613
[613] 신라 수나라 사신을 위해 황룡사에서 원광을 우두머리로 백고좌회 개최.
643
[643] 신라 자장, 왕의 요청에 따라 당에서 귀국.
[643] 고구려 당에 사신을 보내 도사,도덕경 들여와 도교 장려
645
[645] 신라 선덕여왕 황룡사 9층탑 세움.
650
[650] 고구려 보장왕 보덕, 백제에 망명.
660
[660] 백제멸망 후 도침, 복신과 함께 주류성에서 일어나 백제 국권회복투쟁을 벌임.
671
[671] 신라 의상,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당군침략 정보를 알림. 명랑, 당군 침략 물리치는 밀교의식.
676
[676] 신라 의상, 부석사 세움. 왕의 논,밭,노비 기부를 거절.
697
[697] 발해 고왕 당나라와 불교 외교.
713
[713] 발해 사신, 당나라 사찰 참배 허용 요구.
740
[740] 신라 심상, 일본에 화엄종을 일으킴.
751
[751] 신라 재상 김대성, 불국사와 석굴암을 세움.
753
[753] 대현, 대궐에서 금강명경 강의.
754
[754] 신라 법해, 황룡사에서 왕을 위해 화엄경을 강의.
763
[763] 신라 신충, 왕을 위해 단속사 세우고 왕의 복을 기원함.
764
[764] 신라 진표, 금산사에서 미륵불 조성.
821
[821] 신라 도의, 당에서 돌아와 선을 전함.
826
[826] 신라 홍척, 당에서 돌아와 실상산파 개창.
845
[845] 신라 무염, 당에서 돌아와 성주산파 개창.
847
[847] 신라 범일, 당에서 돌아와 사굴산파 개창.
864
[864] 신라 도선, 옥룡사 세움.
873
[873] 신라 순지, 당에서 돌아와 오관산파 개창.
875
[875] 신라 도선, 송악지방 호족 왕륭과 친교.
891
[891] 신라 궁예, 기훤의 농민봉기군에 참가.
894
[894] 신라 최치원, 해인사에 은둔.
895
[895] 신라 궁예, 새 나라를 세움.
898
[898] 신라 궁예, 팔관회 개시.
900
[900] 신라 진훤, 후백제를 세움.
918
[918] 태조 왕건 즉위, 팔관회 개시.
921
[921] 이엄을 왕사로 책봉.
922
[922] 신라 진훤, 미륵사탑 복구, 선운사에서 승려 지도자 선출.
927
[927] 발해 승려 재웅 등 고려에 망명.
936
[936] 후삼국 통합, 개태사 세움.
958
[958] 승과 개시.
961
[961] 체관을 중국에 보내 천태종 서적 전함.
964
[964] 균여를 귀법사 주지에 임명.
982
[982] 최승로, 시무책에서 부패 불교 비판.
987
[987] 팔관회 폐지.
1010
[1010] 팔관회 재개.
1011
[1011] 거란 침략 물리치기를 기원하여 대장경 간행.
1067
[1067] 흥왕사 세움.
1070
[1070] 의천, 15세에 승통에 임명됨.
1085
[1085] 의천, 송나라에 몰래 건너가 다음해 귀국.
1086
[1086] 의천, 교장도감을 두어 속장경을 조판.
1090
[1090] 의천, 최초의 불교도서목록 `신편제종교장총록'작성.
1096
[1096] 천태종을 열고 국청사를 세움.
1101
[1101] 참사상 퍼뜨린 광기와 각진을 처벌.
1107
[1107] 여진 정벌, 옛땅 회복 투쟁에 승군 참전.
[1107] 함경도 정복지에 호국인왕사, 진동보제사 세움.
1129
[1129] 묘청 등, 칭제건원, 금나라 정벌 건의.
1131
[1131] 묘청, 서경 대화궁에 팔성당 지음.
1135
[1135] 묘청, 서경에서 혁명. 새나라 이름을 `대위'라고 함.
1170
[1170] 보현원에서 무신정변 폭발.
1174
[1174] 귀법사 승려 봉기, 개경 승려 반란, 왕정복고투쟁.
1176
[1176] 공주 명학소 민중봉기, 사찰습격.
1177
[1177] 서경 민중봉기, 담화사 근거로 투쟁, 승려들을 봉기군으로 징발함.
1181
[1181] 농민봉기군, 왕실 원찰 봉은사 습격.
1190
[1190] 지눌, 정혜결사 조직.
1202
[1202] 대구 동화사, 부인사 승려들, 농민봉기에 참가.
1217
[1217] 최충헌 타도를 위한 승군 반란.
1231
[1231] 충주 노비해방투쟁 지도자 우본이 몽고 침략군에 항쟁하여 물리침.
1232
[1232] 요세, 백련결사 조직.
[1232] 우본이 이끄는 노비, 승군 2차 노비 해방 투쟁.
[1232] 개경 노비, 승려 봉기.
[1232] 김윤후, 처인성에서 몽고 원수 살리타이 사살.
1236
[1236] 강화도에서 대장경 새김. (1251년 완성)
1253
[1253] 김윤후, 노비군 이끌고 충주성 사수.
1275
[1275] 일연, 삼국유사 저술.
1328
[1328] 무기, 석가여래행적송 지음.
1348
[1348] 원 왕실의 장수,행복을 빌기 위해 경천사 대리석 탑 세움.
1356
[1356] 보우, 왕사가 되어 승직 임명 관장.
1365
[1365] 신돈, 국정의 전권을 맡아 개혁정치.
1366
[1366] 신돈, 전민변정도감 설치, 권문세족이 강탈한 토지 환수, 노비해방.
1371
[1371] 신돈 처형후 보우를 국사로, 혜근을 왕사로 책봉.
1388
[1388] 신조, 이성계의 참모로써 위화도 회군에 주요 역할.
[1388] 이성계 심복 조인옥, 불교배척 상소.
1391
[1391] 박초,김초 등 불교배척 상소 잇따름.
1392
[1392] 조선 태조 도첩제 강화로 승려 출가 억제. 무학을 왕사로 임명.
1402
[1402] 사찰 토지 몰수 시작.
1406
[1406] 사찰 수 제한 조치.
[1406] 성민 등 탄압조치 시정 호소.
[1406] 해선, 지붕개량사업 자청.
1424
[1424] 불교종파 통폐합 조치.
1427
[1427] 천우 등 온천치료 기금 설치 청원.
1433
[1433] 태평관 짓는 일에 승려 동원.
1461
[1461] 간경도감을 두어 주요 경전 번역,간행.
1464
[1464] 왕실 원찰 원각사 세움.
1471
[1471] 염불소 금지.
1492
[1492] 도첩제 폐지, 무단출가 승려 환속조치.
1503
[1503] 연산군 승과 폐지.
1516
[1516] 사찰 토지,노비 몰수.
1535
[1535] 태안반도 운하 공사에 승려 동원.
1550
[1550] 보우 등용, 불교 부흥.
1552
[1552] 도첩제,승과 부활.
1559
[1559] 임꺽정의 봉기.
1565
[1565] 보우, 제주도에 유배되어 살해됨.
1566
[1566] 도첩제,승과 폐지. 승려 출가 금지.
1589
[1589] 정여립의 혁명 모의에 구월산,지리산, 송광사 불교 세력 참가.
1592
[1592] 일본의 침략에 맞서 의승군이 일어남. 공주 의승군의 청주성 탈환, 휴정의 전국 승군 조직.
1593
[1593] 의승군, 평양성 탈환, 행주산성 전투에 참가.
[1593] 윤눌 등 의승군, 이순신의 수군에 참여
1597
[1597] 의승군, 울산,석주관 전투 참가.
1598
[1598] 의승군과 수군 협동작전으로 노량대첩.
[1598] 이몽학의 민중봉기에 승려들 참가.
1604
[1604] 유정, 일본에 가서 강화회담, 포로 송환.
1623
[1623] 승려 도성 출입 금지.
1624
[1624] 평양성 재건에 승려들 동원.
1627
[1627] 후금이 침략하자 명조, 의승군 일으킴.
1636
[1636] 청이 침략하자 각성, 의승군 일으킴.
1669
[1669] 대흥사에 휴정의 사당 표충사세움.
1687
[1687] ~1697 장길산 유격대의 투쟁.
1688
[1688] 4 여환의 미륵혁명 운동.
1696
[1696] 뇌현 등, 안용복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 영토권 확인 소송.
1697
[1697] 장길산과 연대한 민중불교혁명운동 발각.
1728
[1728] 이인좌의 반란에 지리산 승려들 참가.
1758
[1758] 황해도 농민들의 존경을 받던 `생불' 여인 처형 당함.
1763
[1763] 황해도 미륵신앙자 처형.
1785
[1785] 함경도 거사 집단과 미륵교도의 봉기모의.
[1785] 용파, 관리들의 사찰 수탈 시정 호소.
1826
[1826] 백파, 선문수경 지음.초의,김정희와 논쟁.
1851
[1851] 성월, 구월산 봉기에 참가.
1867
[1867] 순성, 명화적을 조직하여 서울,경기의 양반 부호,관가 습격
1870
[1870] 이필제, 지리산 대원암을 근거로 혁명운동.
1892
[1892] 선운사 마애미륵불 비결사건.
[1892] 승려출신 서장옥, 동학 삼례집회 주도.
1893
[1893] 서장옥, 서울에서 대자보 등으로 반외세운동 주도.
[1893] 동학 보은집회 당시 남접진영에 호남 승려들 참가.
1894
[1894] 갑오농민전쟁에 민중불교세력 참가.
1895
[1895] 일련종 승려과 옴. 승려의 도성출입금지해제를 청함.
1897
[1897] 승려 도성출입금지령을 해제함.
1899
[1899]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하여 각 사찰에 분배함. 동대문밖 원흥사를 세움.
1902
[1902] 원흥사를 대법산으로 삼고, 사찰령36조를 정함.
1908
[1908] 원종종무원을 건립함. 이회광을 대종정으로 임명함.
1910
[1910] 승려들의 취처의 자유를 의논함. 임제종을 창설함.
1911
[1911] 임제종 종무원을 설립. 사찰령 시행규칙을 분류함. 30본사를 설정함.
1912
[1912] 조선불교선교양종 종무원을 설치하고, 각황사를 중앙포교당으로 함.
1913
[1913] 스리랑카승려 달마파라가 옴. 불교흥릉회를 발족함.
1917
[1917] 불교진흥회를 설립.
1920
[1920] 불교청년회를 설립.
1921
[1921] 조선불교선교양종 중앙총무원을 설립.
1922
[1922] 불교유신회를 만듬. 사찰령 폐지 등을 조선총독부에 제출.
1924
[1924] 불교 지 창간. 원종호법회를 설립.
1927
[1927] 조선불교중흥회를 설립. 금강산 유점사에서 금강불교청년회를 설립.
1928
[1928] 사법개정. 각사에 평의원회를 설치. 불교 시찰단을 일본으로 파견함.
1929
[1929] 전국승려대회를 개최함.
1931
[1931] 각황사에서 조선불교청년동맹의 발기대회를 개최함.
1936
[1936]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함.
1942
[1942] 조계종법을 발포.
1945
[1945] 사찰회. 조계종 총본산, 태고사법등의 폐지를 결의. 대한민국 불교신종단의 출발
1946
[1946] 대한민국 성립.
1947
[1947] 선학원에 조선불교 총본원설립(교정 장석상), 태고사 인도 요구.
1948
[1948.05] 제헌국회에 승려 출신 유성갑. 최범술 당선.
[1948.06] 조선불교 제2대 교정에 방한암 추대.
[1948.12] 조선불교 중앙총무원장에 박원찬 발령.
1949
[1949.09] 유엽. 한보순. 장도환 등 총무원에 난입. 원장 박원찬 등을 감금. 사직 강요
[1949.10] 제3대 총무원장에 김구하 취임.
1950
[1950.05] 제2대 국회에 승려 출신 이종욱. 허영호. 박성하 당선 진출.
[1950.06] 인민군을 따라서 남하한 김해진에 의해서 총무원이 점령당했으나 곧 수복. 불교계 주요인사 납북됨.
1952
[1952.07] 제4대 총무원장에 이종욱 취임.
1954
[1954.05] 이승만대통령 제1차 정화유시 발표.
[1954.06] 조선불교를 대한불교 조계종으로 개칭
[1954.06] 불교정화운동 발기인대회 개최
[1954.11] 비구측 태고사 강제 점거. 대처승 축출
1955
[1955.01] 종정 송만암, 비구승이 환부역조(換父易祖 : 보조종조론을 가리킴) 한다고 종정을 사퇴하고 대처승측에 가담.
1956
[1956.06] 서울지방법원, 비구측의 종헌 무효 선고. 비구측 항소
1957
[1957.09] 서울고등법원, 비구측 패소 부분을 취소한다고 판시
1958
[1958.12] 장성 백양사. 비구.대처승간 난투극 연출
1960
[1960.11] 비구들 400여명 대법원 청사에 난입. 6명의 비구 할복 기도
1962
[1962.01] 비구측 종정 하동산과 대처승측 종정 국성우 문교부에 출두하여 통일종단 구성에 서명 날인
[1962.05] 불교재산관리법 제정 공포
[1962.09] 통합종단 결렬
1970
[1970.04] 대처승측, 한국불교태고종으로 독자노선을 선언.
1978
[1978.03] 조계종 재야측, 개운사에 임시 총무원을 개원, 조계종 양분.
1980
[1980.10] 개운사측, 조계사측 총무원을 강제 점거
[1980.10] 계엄사령부, 조계종 총무원 및 전국주요 사찰에 계엄군 투임. 10.27법란.
1983
[1983.08] 설악산 신흥사 신임주지 부임 과정에서 폭력사태 발생. 사망 1명, 중경상 6명.
1986
[1986.06] 정토구현 전국승가회 창립
[1986.08] 조계종 제 25대 총무원장 서의현 취임.
1988
[1988] 불교재산관리법 폐지, 분종과 창종 사태(30개 가량의 신생 불교 종단 출현)
1993
[1993.11] 조계종 종정 성철스님 입적
1994
[1994.03] 서의현, 조계종 총무원장 3선
[1994.03] 범종추, 구종법회
[1994.04.13] 서의현 총무원장 전격 사퇴
[1994.04.13] 조계종 개혁회의 출범.
[1994.11.21] 송월주 스님 총무원장 당선
1998
[1998] 고산스님
1999
[1999] 정대스님
2003
[2003] 법장스님
* 본 연표비교 시스템은 등록특허(10-1358467)에 의해 보호되고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