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단위 | 한국의 주요 인물사 X |
|---|---|
| BC 2333 |
[BC 2333] 단군-단군조선 개국
|
| BC 194 |
[BC 194] 위만-고조선 왕 즉위
|
| BC 57 |
[BC 57] 박혁거세-신라 건국
|
| BC 37 |
[BC 37] 동명성왕 고주몽-고구려 건국
|
| BC 18 |
[BC 18] 소서노-온조와 함께 백제 건국
|
| 42 |
[42] 김수로-금관가야 건국
|
| 203 |
[203] 을파소-고구려 명재상 을파소의 죽음
|
| 396 |
[396] 광개토대왕-고구려 19대 왕, 백제공격 58성 차지
|
| 527 |
[527] 이차돈-불교를 위한 순교
|
| 562 |
[562] 진흥왕-신라 대가야 정벌
|
| 612 |
[612] 을지문덕-고구려 살수대첩
|
| 632 |
[632] 선덕여왕-신라 첨성대 설립
|
| 642 |
[642] 연개소문-정변을 일으키고 권력장악
|
| 654 |
[654] 김춘추-태종무열왕 즉위
|
| 660 |
[660] 김유신-백제 사비성 함락
[660] 의자왕-백제 멸망
|
| 661 |
[661] 원효/의상-당나라 유학
|
| 663 |
[663] 흑치상지-당나라의 장수가 됨
|
| 676 |
[676] 문무왕-신라 삼국통일
|
| 698 |
[698] 대조영-발해 건국
|
| 727 |
[727] 혜초-[왕오천축국전] 저술
|
| 828 |
[828] 장보고-청해진 설치
|
| 894 |
[894] 최치원-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 올림
|
| 900 |
[900] 견훤-후백제 건국
|
| 901 |
[901] 궁예-후고구려 건국
|
| 918 |
[918] 왕건-고려 건국
|
| 958 |
[958] 광종-과거제도 시행
|
| 982 |
[982] 최승로-시무 28조 건의
|
| 993 |
[993] 서희-강동 6주 확보
|
| 997 |
[997] 천추태후-목종 즉위, 천추태후 집권
|
| 1018 |
[1018] 강감찬-귀주대첩
|
| 1055 |
[1055] 최충-구재학당 설립
|
| 1126 |
[1126] 이자겸-이자겸의 난
|
| 1135 |
[1135] 묘청-서경 천도 운동
|
| 1145 |
[1145] 김부식-[삼국사기] 완성
|
| 1170 |
[1170] 정중부-무신정변
|
| 1196 |
[1196] 최충헌-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시작
|
| 1198 |
[1198] 만적-만적의 난
|
| 1274 |
[1274] 충렬왕-여.몽 연합군의 일본정벌
|
| 1281 |
[1281] 일연-[삼국유사] 편찬
|
| 1371 |
[1371] 신돈-역모죄로 처형
|
| 1374 |
[1374] 공민왕-시해
|
| 1376 |
[1376] 최영-흥산에서 왜구 토벌
|
| 1392 |
[1392] 정몽주-선죽교에서 피살
[1392] 이성계-조선 건국
|
| 1394 |
[1394] 정도전-[조선경국전] 저술
|
| 1400 |
[1400] 태종 이방원-조선 태종, 2차 왕자의 난
|
| 1434 |
[1434] 장영실-자격루, 앙부일구 제작
[1434] 김종서-육진개척 시작
|
| 1443 |
[1443] 세종-훈민정음 창제
|
| 1452 |
[1452] 황희-명재상 황희의 죽음
|
| 1453 |
[1453] 세조-계유정난, 정권 장악
|
| 1471 |
[1471] 한명회-좌리공신 1등에 책록됨
|
| 1519 |
[1519] 조광조-현량과 시행, 기묘사화로 처형
|
| 1536 |
[1536] 신사임당-율곡 이이 출생
|
| 1540 |
[1540 대] 황진이-송도 삼절로 불림
|
| 1545 |
[1545] 문정왕후-명종 수렴청정
|
| 1559 |
[1559] 임꺽정-임꺽정의 난
|
| 1568 |
[1568] 이황-[성학십도] 저술
|
| 1575 |
[1575] 이이-[성학집요] 저술
|
| 1585 |
[1585] 정철-[관동별곡] 지음
|
| 1589 |
[1589] 허난설헌-27세로 요절
|
| 1592 |
[1592] 선조-임진왜란 발발
|
| 1598 |
[1598] 이순신-노량해전에서 전사
|
| 1608 |
[1608] 광해군-대동법 시행
|
| 1610 |
[1610] 허준-[동의보감] 완성
|
| 1612 |
[1612] 허균-[홍길동전] 저술
|
| 1623 |
[1623] 인조-인조반정
|
| 1625 |
[1625] 소현세자-세자 책봉
|
| 1651 |
[1651] 김육-충청도 지역 대동법 시행
|
| 1689 |
[1689] 송시열-사약 받고 죽음
|
| 1725 |
[1725] 영조-탕평책 실시
|
| 1750 |
[1750] 박문수-균역법 실시
|
| 1760 |
[1760] 이익-[성호사설] 저술 완성
|
| 1773 |
[1773] 홍대용-[의산문답]에서 지전설 주장
|
| 1776 |
[1776] 정조-규장각 설립
|
| 1780 |
[1780] 박지원-중국 기행문집 [열하일기] 집필
|
| 1781 |
[1781] 김홍도-어진화사로 정조 초상화작업
|
| 1795 |
[1795] 혜경궁 홍씨-[한중록] 저술
|
| 1796 |
[1796] 정약용-수원 화성 준공
[1796] 임윤지당-[윤지당유고] 간행
|
| 1798 |
[1798] 김만덕-여성 최고 벼슬 '의녀반수'에 오름
|
| 1801 |
[1801] 이사주당-[태교신기] 저술
|
| 1811 |
[1811] 홍경래-홍경래의 난
|
| 1836 |
[1836] 강정일당-[정일당유고] 간행
|
| 1844 |
[1844] 김정희-[세한도] 그림
|
| 1846 |
[1846] 김대건-한국 최초 천주교 신부, 순교
|
| 1857 |
[1857] 최한기-[지구전요] 저술
|
| 1860 |
[1860] 최제우-동학 창시
|
| 1861 |
[1861] 김정호-[대동여지도] 편찬
|
| 1863 |
[1863] 흥선대원군-고종 즉위, 수렴청정
|
| 1866 |
[1866] 박규수-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 물리침
|
| 1879 |
[1879] 지석영-종두법 실시
|
| 1883 |
[1883] 박영효-발간, 태극기 사용
|
| 1884 |
[1884] 김옥균-갑신정변 주도
|
| 1894 |
[1894] 전봉준-동학농민운동 봉기
|
| 1895 |
[1895] 명성황후-일본에 의해 시해됨
[1895] 유길준-[서유견문] 지음
|
| 1896 |
[1896] 서재필- 설립, 발간
|
| 1897 |
[1897] 고종 황제-대한제국 출범
|
| 1901 |
[1901] 이재수-이재수의 난
|
| 1906 |
[1906] 최익현-의병 봉기, 사망
|
| 1907 |
[1907] 이상설-헤이그 특사 파견
|
| 1909 |
[1909] 주시경-[국어문법] 발간
[1909] 안중근-이토 히로부미 사살
|
| 1913 |
[1913] 안창호-흥사단 창립
|
| 1919 |
[1919] 유관순-3.1 운동
[1919] 이승만-임시정부 국무총리 추대
[1919] 김원봉-의열단 조직
|
| 1920 |
[1920] 김좌진-청산리 전투
|
| 1921 |
[1921] 김익상-조선총독부 폭탄 의거
|
| 1923 |
[1923] 염온동-제11회 임시의정원 외희에서 의원선출
|
| 1925 |
[1925] 박은식-임시정부 2대 대통령
|
| 1926 |
[1926] 한용운-[님의 침묵] 발표
[1926] 나운규-영화 [아리랑] 감독
|
| 1932 |
[1932] 윤봉길-훙커우 공원 의거
|
| 1935 |
[1935] 나혜석-정조관념 해체 주장
|
| 1936 |
[1936] 손기정-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
|
| 1945 |
[1945] 오광심-만주 심양, 애국부인회 위원장
[1945] 김구-광복 후 귀국, 1947년 [백범일지] 출간
|